핸드폰을 티비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법

최근 핸드폰을 티비로 연결해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방법들이 있는데 제가 알고 있는 몇가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핸드폰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큰 TV 화면으로 보거나 핸드폰으로 영화를 플레이 시키고 대형티비 화면으로 보거나 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집안의 공유된 나스서버에 저장된 영화를 핸드폰으로 접속해서 플레이 시키고 다시 무선으로 티비와 연결해서 영화 화면을 큰 티비로 보는 용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스 서버에는 2테라 바이트 정도 되는데 백업, 음악, 영화등을 대용량 저장해 놓을 수 있어서 참 좋은것 같습니다. 기회가 되면 나스 서버에 대해서도 포스팅 해 보겠습니다.

사실 핸드폰과 티비를 연결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최근 출시 되는 기기들이 이 연결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간단히 연결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뷰(Smart View) 기능합니다.

저의 핸드폰은 갤러시8인데 이 모델 이상되는 핸드폰은 모두 지원이 됩니다. 이하 버전의 제품도 지원되는지는 알수 없네요. 확인 방법은 아래 사진에서 보는 방법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smartview 01

핸드폰 상단을 끌어서 내리면 Smart View 가 있으면 지원되는 모델입니다.

Smart View를 선택합니다.

smartview 02

Smart View 를 실행하면 주변에 연결 가능한 장치들이 나타납니다.
티비, 노트북 장치가 보이네요. 여기서 우리가 미리 해야 할일은 없습니다. 스마트뷰가 지원되는 장치들이 나타나는데 단, 한가지 미리 되어 있어야 하는건 같은 공유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티비도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저 같은 경우는 엘지 IP 티비를 사용하고 있어서 셋탑박스에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고 티비와는 셋탑박스와 HDMI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인터넷 티비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렇게 연결되어 있을거예요. LG 인터넷 티비 셋탑박스가 스마트뷰 기능을 지원하네요. 옛날꺼는 지원이 안될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 노트북 같은 경우 같은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데도 이 기능이 작동되네요. 아마도 연결되는 형식이 다른 듯합니다. 다이렉트로 연결되는 듯합니다. 스크린 미러링, 크롬캐스트 등 다양한 지원 형식이 있습니다.

연결을 원하는 장치를 선택하면 바로 핸드폰 화면이 티비로 나옵니다. 핸드폰을 가로로 하면 티비 화면에도 가로 화면으로 나옵니다. 영화를 이렇게 보면 꽉찬 화면으로 볼 수 있겠죠.


만약 내 핸드폰이 지원되지 않는다면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구글 홈 앱을 이용하면 됩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으세요.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ogle.android.apps.chromecast.app

smartview 03
smartview 04

설치 후 구글 홈을 실행하면 주변에 연결가능한 기기들을 알아서 찾아 줍니다.
티비와 공유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공기청정기 까지 나타나네요.
Smart View 로 연결할때와 다르게 노트북은 찾지 못합니다.

smartview 05

공기 청정기를 선택해 보면 공기청정기 원래의 앱에서 사용하는 기능은 사용하지 못하고 전원 컨트롤만 가능하네요.

smartview 06

티비를 선택하면 볼륨 조절을 할수 있고 아래 화면 전송을 선택하면 핸드폰 화면이 그래로 티비로 보여집니다.


위의 2가지 방법이 되지 않으면 별도의 장치를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크롬캐스트 라는 장치를 구입해서 티비 HDMI 단자에 꼽으면 핸드폰과 티비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